OSI 7 Layer 란?
우리가 통신을 할 땐 통신의 규칙을 정해야 한다. 그래야 받는 사람이 받은 통신에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일련의 통신 과정을 7 단계로 나눈것을 OSI 7 Layer라고 한다.
(7 Layer 모두가 통신의 필수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몇개의 계층을 생략한 통신도 가능하다.)
7 Layer
7 Layer는 총 7단계로 나뉘며 7 Layer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내려가며 데이터에 헤더를 달아 1 Layer에서 데이터를 수신 장치의 1 Layer으로 보낸다 그러면 수신장치는 받은데이터를 1 Layer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처리해 7 Layer으로 올리며 수신을 마친다.
자 그러면 이제 각 Layer 에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자
1 Layer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Physical layer는 통신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단계 즉 하드웨어를 뜻한다.
그래서 Physical layer에서는 데이터에 헤더를 붙이지 않고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한다.
이 Physical layer에 속하는 장비로는 대표적으로 허브가 있다.
허브는 단순이 데이터를 받으면 다른 모든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Broadcast 방식)만 하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를 판단하지 않아 Physical layer 장비라는 의미에서 L1 장비라고 부른다.
2 Layer - Data linkage layer (데이터 링트 계층)
Data linkage layer는 1 Layer (Physical layer)의 신뢰성을 위해 장비의 MAC 주소 값을 데이터의 헤더에 저장 한다.
(* MAC 주소 : 장비가 가진 고유한 번호 사람의 주민번호라고 생각하면된다.)
이 Data linkage layer에 속하는 장비로는 스위치가 있다. (닌테도 스위치 말고)
스위치는 Mac address table에 저장된 MAC주소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어떤 컴퓨터에 전송할지 정한다.
만약 MAC address table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MAC주소의 데이터는 허브와 마찬가지로 Broad cast방식으로 보낸다.
3 Layer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에선 패킷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며 IP를 담당한다.
Network layer의 장비로는 라우터가 있으며 스위치가 MAC주소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판단했다면 라우터는 IP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판단한다. 이 라우터를 기준으로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구분 한다.
(우리가 설정하는 Gate way주소가 바로 이 라우터의 MAC주소라고 보면 된다.)
4 Layer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만약 용량이 1GB가 넘는 동영상을 보내려고 하자 이 1GB용량의 데이터를 한번에 보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보내야할까? 바로 잘라서 하나씩 보내면 된다.
그래서 Transport layer에선 상위 layer에서 내려온 데이터를 분해하고 받은 데이터를 재결합해 온전한 데이터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은 크게 2가지가 존재하는데 TCP방식과 UDP 방식이 있다.
TCP 방식의 경우 데이터를 하나보내고 받았다는 연락이오면 다음 데이터를 보내는 순차적인 방식이고
UDP 방식의 경우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았던 받지 않았던 상관하지 않고 데이터를 계속해서 보내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TCP는 통신 신뢰성이 높고 UDP는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통신 프로토콜은 TCP방식을 많이 쓰니 기억하도록
5 Layer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Session layer는 통신을 하는 양쪽 host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역할 을 한다.
6 Layer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는 데이터의 Format을 결정한다.(ex. jpg, pdf, mp4...)
또한 이 layer에서 데이터의 암호화도 이루어 진다.(ex. tls)
7 Layer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우리가 사용하는 어플 가장 상위 단계의 데이터라 보면 된다.
http, pop3등을 정의